728x90
주간증시요약 및 금융시장 동향-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 이번 주의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 채권, 환율, 원자재, 암호화폐 등에서 상승과 하락이 번갈아가며 일어나면서, 시장 변동성이 높았습니다. 투자자들이 우려하던 실리콘밸리은행 사태의 여파를 뒤로하고, 지난주의 미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발표와 이번 주 금요일 발표된 주요 물가지표 중의 하나인 PCE(개인소비지출)의 긍정적인 결과에 힘입어 시장은 강한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주, 주간증시요약과 더불어 금융시장 주요 동향을 분석해보고, 투자자들이 참고할 만한 정보와 앞으로 가져가야 할 투자 전략에 대해서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ot a financial advice / Record, reference use only
목차
- 미국채 만기별 수익률 YIELDS
- 환율 FOREX
- 원자재 COMMODITIES
- 암호화폐 CRYPTO MARKET
- 미국 증시 U.S. STOCK MARKET
- 대한민국 증시 KOSPI & KOSDAQ
- 주간증시요약 SUMMARY
※ 2023.3.31 - 미국 PCE(개인소비지출) 발표 결과
- 시장 전망치보다 하회한 결과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는 모습
- YoY +5.0% (M-1 YoY: 5.3%) = 시장 전망치 하회(+5.1%)
- MoM 0.3% (M-1 MoM: 0.6%) = 시장 전망치 하회(다우존스 시장 전망치: 0.4%)
1. 미국채 만기별 수익률 U.S. Yields
- 경기침체와 물가가 잡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금리인하 시기는 차이를 보이겠지만, 결과적으로 현재 기준금리는 최종구간 근처에 다다른 상황이므로, 채권의 매력도는 매우 높은 상황
- 단기채 < 장기채
수익률 | 주간 변동성 | |
United States 2Y | 4.038% | +6.97% |
United States 5Y | 3.585% | +5.10% |
United States 10Y | 3.475% | +2.81% |
United States 30Y | 3.652% | +0.03% |
1-1 장단기금리차 Yield Conversion
- 장단기금리차는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는 상황
장단기금리차 | ||
W | W-1 | |
United States 10Y vs 3M | -1.280% | -1.289% |
United States 10Y vs 2Y | -0.563% | -0.392% |
2. 환율 Forex
- 달러의 약세와 더불어 유로의 강세는 달러의 추가적인 약세를 가속화시킬 가능성
- 달러의 약세는 타 통화들의 강세를 의미
- 추세적으로 달러는 약세장으로 진입했지만, 경기침체 또는 위기가 왔을 때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인해 일시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 충분히 존재
- 2가지 경우를 분리해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 물가가 잡힌 상태에서 경기침체가 와서 금리가 인하되는 경우 → 기준금리 급격한 인하 → 자산가격 급락 추이를 지켜보며 저점매수 타이밍
- 물가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경기침체가 오는 경우 → 기준금리 높은 상태 오래 유지 → 현금확보 후 관망
티커 | 주간 변동성 | 주간 흐름 | 단기 추세 | |
달러 Dollar |
DXY | -0.51% | ↘ | Bearish ↘ |
유로 Euro |
EXY | +0.71% | ↗ | Bullish ↗ |
엔 Yen |
JXY | -1.54% | ↘ | Bullish ↗ |
위안 Yuan |
CNYUSD | - | - | Bullish ↗ |
원 Won |
KRWUSD | -0.65% | ↘ | Bullish ↗ |
3. 원자재 Commodities
전략 | 주간 변동성 | YTD | |
원유 WTI |
LONG | +9.32% | -6.15% |
천연가스 Natural Gas |
LONG | -4.53% | -50.77% |
금 Gold |
LONG | -0.42% | +7.99% |
구리 Copper |
HOLD | +0.28% | +7.37% |
4. 가상자산 암호화폐 시장 Cryptocurrency Market
- 비트코인: 일봉상 1/10, 주봉상 1/16 상승추세 진입 후, 순항 중
- 이더리움: 일봉상 3/12, 주봉상 3/27 상승추세 진입
주요 종목 | 주간 변동성 |
비트코인 BTC |
+4.34% |
이더리움 ETH |
+4.58% |
솔라나 SOL |
+3.34% |
폴리곤 MATIC |
+1.87% |
5. 미국 증시 U.S. Stock Market
- S&P 500: 주봉상 아직 하락추세
- 다우 존스: 주봉상 상승추세 유지 중
- 나스닥: 일봉상 3/21, 주봉상 이번 주 상승추세 진입
- 러셀 2000: 주봉상 하락추세
미국 증시 주간 변동성 | |
S&P 500 | +3.48% |
Dow Jones | +3.22% |
Nasdaq | +3.37% |
Russell 2000 | +3.89% |
5-1 섹터별 ETF 흐름
- YTD 기준, 미국 상위 섹터 1~3위가 모두 테크 및 인터넷 관련 ETF → 나스닥 상승의 원동력
미국 상위 섹터 ETF (YTD 기준) |
||
SMH | Semiconductor | +29.34% |
FDN | Dow Jones Internet Index | +21.16% |
IGV | Expanded-Tech Software | +20.29% |
ITB | US Home Construction | +15.41% |
GDX | Gold Miners | +12.05% |
-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는 지역은행(Regional Banking) 섹터의 하락으로 연결
미국 하위 섹터 ETF (YTD 기준) |
||
KRE | Regional Banking | -24.03% |
OIH | Oil Services | -8.24% |
XOP | Oil & Gas Exploration, Production | -6.53% |
KIE | Insurance | -4.13% |
IBB | Biotechnology | -2.12% |
6. 대한민국 증시 KOSPI & KOSDAQ
- 코스피 & 코스닥: 여전히 상승추세 유지 중이며, 미국 증시에 비해 상당히 저평가되어있는 상태
- 리스크 & 리워드 측면에서, 여전히 리스크보다 리워드가 높은 자리
- 코스닥보단 코스피가 벨리에이션 측면에서 더 매력적 (코스닥 < 코스피)
대한민국 증시 주간 변동성 | |
EWY | +2.56% |
KOSPI | +2.56% |
KOSDAQ | +2.84% |
7. 주간증시요약 Investing Weekly Summary
주간증시요약 | |||
구분 | 주간 움직임 | 주간 전략 | |
주식 | 나스닥 | ↗ | BUY |
신흥국 | ↗ | BUY | |
금리 | 미국채 2년물 | ↘ | BUY |
미국채 10년물 | ↘ | ||
장단기금리차 | 10Y3M: ↘ 10Y2Y: ↗ |
||
환율 | 달러 | ↘ | |
유로 | ↗ | ||
엔 | ↘ | ||
위안 | - | ||
원 | ↘ | ||
원자재 | 원유 | ↗ | BUY |
천연가스 | ↘ | BUY | |
금 | ↘ | BUY | |
구리 | ↗ | ||
암호화폐 | 비트코인 | ↗ | BUY |
'1. 투자에 관한 모든 것 > 주간증시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증시요약 및 금융시장 동향-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17) | 2023.04.17 |
---|---|
주간증시요약 및 금융시장 동향-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16) | 2023.04.11 |
주간증시요약-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9) | 2023.03.26 |
주간증시요약-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11) | 2023.03.20 |
주간증시요약-JRFO Investing Weekly Market Recap (25)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