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투자에 관한 모든 것/시장분석

[시장분석] 반도체 시장 분석 및 전망(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by JRFO 2022. 10. 3.
728x90

반도체 시장은 크게 메모리 반도체(정보 기억)와 시스템 반도체(정보 연산, 제어, 처리)로 구분되며, 매출 규모로 따지면 메모리 반도체가 35~40%를 차지하고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나머지 60%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감지, 인간의 두뇌처럼 데이터를 분석·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반도체는 무한대에 가까운 수요와 용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 시장 분석 및 전망, 그리고 메모리반도체 3대장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반도체 산업
2. 메모리 반도체 시장
3. 시스템 반도체 시장
4. 국가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5. 반도체 시장 분석
6. 메모리 반도체 3대장
7. 결론: 반도체 시장 전망

 

1. 반도체 산업

구분 분야 주요 기업 특징
메모리
반도체
DRAM, NAND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로,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사용
시스템
반도체
CPU, GPU,
SoC, FPGA 등
인텔,
AMD,
엔비디아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중앙 처리 장치, 그래픽 처리 장치, 통신 기능 등을 담당하는 반도체로, 최근에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의 분야에서의 중요성 부각
  • 반도체 시장은 크게 메모리 반도체(정보 기억)와 시스템 반도체(정보 연산, 제어, 처리)로 구분되며, 매출 규모로 따지면 메모리 반도체가 35~40%를 차지하고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나머지 60%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감지, 인간의 두뇌처럼 데이터를 분석·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반도체는 무한대에 가까운 수요와 용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1. 메모리 반도체 - 정보 기억
  2. 시스템 반도체 - 정보 연산 및 처리
    • 팹리스(Fabless): 반도체 설계만 담당
    •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위탁 제조
    • 종합반도체회사(IDM): 설계, 제조 모두 담당

 

메모리 vs 시스템 반도체 <자료: KDB산업은행>

메모리 vs 시스템 반도체
메모리 vs 시스템 반도체 <자료: KDB산업은행>

 

2. 메모리 반도체 시장

  • 대한민국 수출의 40% 가까이 차지하는 반도체는 대한민국의 핵심 산업이자 전 세계가 주목하는 섹터입니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올해 1분기(1~3월) 기준 전 세계 스마트폰용 D램과 낸드 플래시 시장의 매출을 집계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대한민국 반도체 업체들이 스마트폰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도 7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 점유율

1위: 삼성전자(46%)

2위: SK하이닉스(24%)

3위: 마이크론(15%)

  • 상위 3개 공급업체의 합산 매출 점유율은 무려 85%에 이르며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5G 스마트폰 시장 성장에도 소비 수요 약화와 거시 환경 불확실성으로 스마트폰 메모리 시장의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자료: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자료: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

 

 

韓 반도체, 스마트폰 메모리 시장도 석권…70% 점유율-무역뉴스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3. 시스템 반도체 시장

시장 점유율

1위: 미국(69.1%)

2위: 대만(11%)

3위: 유럽(8.6%)

4위: 일본(4.8%)

5위: 중국(3.3%)

6위: 대한민국(3%)

  • 시스템 반도체 시장 강국은 단연 미국입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미국의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69.1%에 달하며, 이어 대만(11.0%), 유럽(8.6%), 일본(4.8%), 중국(3.3%), 대한민국(3%) 순서였습니다.
  • 대부분의 시스템반도체는 팹리스(Fabless) 회사가 설계합니다. 팹리스는 제조설비(fabrication)에 '없다'는 뜻의 접미사(-less)를 합성한 단어로써, 반도체 설계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지칭하며, 대표적으로 미국의 엔비디아·퀄컴, 일본의 소니, 대만의 미디어텍 등이 있습니다.
  • 팹리스가 설계한 시스템반도체는 위탁생산을 전문적으로 하는 파운드리(Foundry)가 대신 만듭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TSMC(점유율 50%), 그리고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설계와 생산, 판매까지 모두 수행하는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종합 반도체 회사)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3. 국가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세계 반도체 시장 국가별 순위

1위: 미국(49.8%)
2위: 대한민국(19.9%)
3위: 대만
4위: 유럽
5위: 일본

  •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힘입어 세계 2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 개별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전 세계 매출 1위로 반도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전 세계 각국별 반도체 산업 영향력 집계 결과 <자료: 디지타임스>

전세계 각국별 반도체 산업 영향력 집계 결과 &lt;자료: 디지타임즈&gt;
전세계 각국별 반도체 산업 영향력 집계 결과 <자료: 디지타임즈>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삼성전자

  • 2019년 4월,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메모리 반도체에 이어 파운드리를 포함한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도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담은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을 공개했습니다.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모두 1위를 달성해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것뿐 아니라 실적의 질도 향상하겠다는 목표입니다.
  • 실제로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비중은 70%를 상회하며, 그렇기 때문에 업황의 사이클에 따라 실적이 크게 영향받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현재 추진 중인 ARM 인수건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마무리된다면, 시스템 반도체 업계에서 한층 커질 영향력은 물론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고작 1%인데 세계 시장을 주도?…삼성 '팹리스'의 승부수[인더독]

"메모리 초격차를 확대하고, 팹리스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에서 역전하면 반도체 3대 분야를 모두 주도하는 초유의 기업으로 도약이 가능하다." 향후 5년간 반도체, 바이오, 신성장 IT(정보통신)

www.nocutnews.co.kr

 

이재용, 서울 찾은 손정의와 담판 임박…삼성은 왜 ARM에 목매나 [뉴스 쉽게보기]

매일경제 `디그(dig)`팀이 연재하는 `뉴스 쉽게보기`는 술술 읽히는 뉴스를 지향합니다. 복잡한 이슈는 정리하고, 어려운 정보는 풀어서 쉽게 전달하겠습니다. 일본 최고 부자 중 한 명이 지난 1일

www.mk.co.kr

 

5. 반도체 시장 분석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 월봉차트를 보면 2008년 저점을 찍은 후 반도체 업황 사이클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보여왔으며 현재 채널 하단, 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SO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월봉차트 1SO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월봉차트 2SO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월봉차트 3
SO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월봉차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SOXX

  • 장기 시계열 차트에서 저평가 구간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를 통해 현재 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우 매력적인 자리입니다.

SOX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 월봉차트SOX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 월봉차트 2SOX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 주봉차트
SOX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 월봉, 주봉차트

 

6. 메모리 반도체 3대장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vs 마이크론

회사명 국가 창립연도 시가총액 매출 순이익
삼성전자 대한민국 1969 USD 372.9 billion USD 223.5 billion USD 33.8 billion
SK하이닉스 대한민국 1983 USD 115.2 billion USD 40.3 billion USD 7.1 billion
마이크론 미국 1978 USD 110.7 billion USD 32.7 billion USD 5.9 billion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vs 마이크론 - 월봉차트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vs 마이크론 - 월봉차트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vs 마이크론 - 월봉차트

 

삼성전자 005930

  • 장기 시계열 차트에서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진입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우 매력적인 매수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 월봉차트 1삼성전자 - 월봉차트 2
삼성전자 - 월봉차트

 

SK하이닉스 000660

  • 장기 시계열 차트에서 저평가 구간에 진입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매력적인 매수 기회를 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SK하이닉스 - 월봉차트
SK하이닉스 - 월봉차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 시각적으로는 마이크론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비해 견조하게 버텨주며 주가가 덜 빠진듯한 모습이지만, 실제로는 고점 대비 하락률이 가장 높습니다. 장기 시계열 차트에서 저평가 구간에 가깝지도 위치하고 있지도 않지만, 현재 반도체 사이클의 저점들을 잇는 하단 추세선에 위치하고 있고 고점 대비 하락이 깊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이클의 바닥에 가깝다고 보고 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를 통해 현재 매력적인 매수 기회를 주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 - 월봉차트마이크론 - 월봉차트 2
마이크론 - 월봉차트

 

7. 결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바닥권
메모리 반도체 3대장: 바닥권

  • 반도체 시장은 높은 성장성을 품고 있는 미래 첨단 산업의 근간이 되는 코어 섹터
  •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분야는 앞으로도 더 크고 강하게 증가할 것. ex) 지금 우리는 전기차 시대로 가는 변화를 목격하는 중
  •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의 미래 첨단산업에서 반도체에 대한 수요는 매우 크게 증가할 것
  • 반도체 업황 사이클의 바닥을 선반영하고 있으며 상승할 때도 선반영해서 올라갈 것으로 판단

댓글